OSI 7 계층에 대해 - 7Layer , Application

OSI 7계층 (OSI 7 Layer) 란

OSI 7계층(Open Systems Interconnection Model)은 네트워크 통신을 계층별로 나누어 설명하는 모델

이를 통해 네트워크 장비 간의 통신 과정을 쉽게 이해하고, 특정 계층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분석할 수 있다.

정리하면,

스크린샷 2025-03-13 오후 4.37.16.png

 

들어가며

이번 포스트에서는 7Layer에 대해 이해해 볼건데 글을 읽으면 자연스럽게 OSI 대해 이해할 수 있을것이다.

보통 CS관련된 문제를 설명할때는 필자는 크게 3가지 레이어로 구분하여 설명하는데

Appllication Layer , Network Layer (컴퓨터 자체에서는 OS , 커널 이기도 하다.) , physical Layer로 구분한다.

여기서 Application은 7~5 , Network 는 4 ~3 , Physical 은 2~1 로 보면 된다.

이렇게 설명하는 이유는 내가 응용소프트웨어를 중점으로 개발하는 백엔드 개발자여서지

아래 레이어가 중요하지 않아서는 아니라는점을 인지하길 바란다.

사용에 대해

응용계층은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사용하기위해 직접 상호작용하는 파트를 말한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웹도 해당 파트고, 이메일이나 파일전송 같은 프로토콜도 여기서 작성된다고

이해할 수 있다.

쉽게말해 사용자 - 네트워크간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 데이터의 응답과 요청을 진행하는 것이다.

지금 근무하고 있는 회사에서는 모니터링 솔루션이 있는데 이것이 7Layer에 해당하는 SNMP 프로토콜을 활용해

작성하는 기능이다.

TCP/IP 모델에서와의 비교

TCP 모델에서는 통신프로토콜 자체에 집중하기 때문에 OSI에서 말하는 세션과 표현 계층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라고 구분한다는 점만 알고 있으면 충분하다.

대표적인 프로토콜

스크린샷 2025-03-13 오후 4.34.11.png

 

비유하면

스크린샷 2025-03-13 오후 4.37.54.png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O VS Social Login  (0) 2025.04.01
Saas / Paas / laas  (0) 2025.03.20
RTT(Round Trip Time, 왕복 시간)  (0) 2025.02.20
REST에 대해서 다시 이해해보자 - 이해 한지 다시 생각해보자  (0) 2025.02.12
SSR VS CSR  (1) 2025.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