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도 쓰니까 리눅스 탭으로 했는데 MAC + 리눅스 입니다.
공개키 알고리즘으로 접속 키 만들기 (SSH 키)
접속할 컴퓨터나 서버에서 sshKey를 RSA기반하여 생성
ssh-keygen -t rsa -b 4096 -C "your_email@example.com"
의미를 파악해보면
ssh-keygen
- SSH 키 쌍을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 공개 키(id_rsa.pub)와 개인 키(id_rsa) 두 개의 파일이 생성됩니다.
- 기본적으로 ~/.ssh/ 폴더에 저장됩니다.
2. t rsa
- 키 생성에 사용할 알고리즘을 지정합니다.
- RSA (Rivest-Shamir-Adleman)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 RSA는 보안성과 호환성이 뛰어나 가장 많이 사용됨.
3. b 4096
- 생성할 키의 비트 크기를 설정합니다.
- 기본적으로 2048비트가 사용되지만, 더 강한 보안을 위해 4096비트를 지정.
- 비트 크기가 클수록 보안이 강하지만, 키 생성 및 인증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
4. C "your_email@example.com"
- 생성된 SSH 키에 주석(Comment)을 추가하는 옵션.
- 보통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를 넣어서 누가 만든 키인지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
- 나중에 ssh-add -l로 키 목록을 볼 때 쉽게 식별 가능.
RSA는 공개키 기반 알고리즘인데 내가 공개키를 만들어두고 개인키로 인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Passphrase 만들기
생성하면서
passphrase 를 만드는데 비워두면 바로 접속되지만
유출당하면 공짜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쓸 비밀번호를 만든다고 생각하면됩니다.
그리고 나서 서버에 ssh키를 복사해줍니다.
ssh-copy-id 접속 호스트@접속할 서버 아이피
별칭을 만들고 설정저장하기
alias 별명='접속 호스트@접속할 서버 아이피'
그다음 저장하면되는데 bash를 쓰면 bashrc , zsh를 쓰면 zshrc에다가 설정 해서 저장합니다.
source ~/.bashrc # 또는 source ~/.zshrc
그다음 접속하면 만든 parser만 입력하면 쉽게 접근할 수 있게됩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s -la 생각보다 많이쓰는데 잘모른다. (0) | 2025.02.28 |
---|---|
alias 영구저장하기 (0) | 2025.02.27 |
iterm2 로 터미널 예쁘기 꾸미기 - MAC용 , 리눅스는 참고용 (1) | 2025.02.27 |
WARN[0000] The "!@#" variable is not set. Defaulting to a blank string (0) | 2025.02.06 |
서브넷 과 CIDR (0) | 2025.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