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하다보니
외부 서버에 접속하여 작업을 허거나 , 레거시 하러 외부에 설치된 처음보는데 이것저것 난잡하게
들어있으며 , 관련 담당자와 개발자가 모두 없거나 도움을 줄 수 없는 경우가 꽤많다.
들어가면 습관적으로 일단 체크하면서 ls -la로 쭉 보면서 시작하는데
생각보다 정리가 안되서 알아보자
일단 토탈이야 뭐 토탈이다 가끔가다가 몇개 있어야하는데 왜없지
할때나 봤던듯
사진 보면 딱 다 알겠는데 앞에 약어 있는것만 잘읽으면 유용하다.
정리해봤는데 생각보다 쉬우면서도 한번 정리안해두면 햇갈린다.
쉽게 생각해서 소유자 한테 권한다있고 그룹에게는 변경 권한은 없네 , 외부사용자도
이렇게 볼 수 있는데 이러면 잘못생각한거다.
이게 파일이랑 디렉토리랑 excute는 의미가 좀 다르다
- 파일(-)에서 x →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스크립트, 바이너리)
- 디렉터리(d)에서 x → 디렉터리에 들어갈 수 있는 권한 (cd 명령 가능)
일케 정리할 수 있다. 그니까 여기서 디렉터리에 그룹이랑 외부인은 못들어온다는 뜻이다.
이거말고도 블록디바이스랑 링크 이런것도 있던데 한번도 못봐서 나중에 보면 또 정리하겠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에 자바 깔기 (0) | 2025.03.13 |
---|---|
Linux iptables NAT 설정 및 관리하기 (0) | 2025.03.13 |
alias 영구저장하기 (0) | 2025.02.27 |
alias + SSH KEY 로 편하게 서버 접속하기 (0) | 2025.02.27 |
iterm2 로 터미널 예쁘기 꾸미기 - MAC용 , 리눅스는 참고용 (1)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