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웹 관련 개발자가 된다면 반드시 접하게 되고, 사용하며 땔 수 없는 것이 HTTP이다.cs를 공부해본 사람이라면 이런 이야기를 들어본 경험이 있다.POST는 값을 바디에 넣어 보내기 때문에 더 안전하다.URL - param에 값을 실어 보내는 GET에 비해 더 안전하다는 것은 어찌보면당연한 이야기이다.이번 글에서는 이런 관점을 바꿔 rfc문서에서 나오는 GET이 더 Safe 하다는 이야기를분석해본다.GET 이 더 안전하다는건 어디나라 말이냐?필자의 짧은 실력이지만, 기술은 관점에 따라 해석될 여지가 모두 다르며이에따라 최신 스택 , 좋은 기술이라도 의미를 두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이 이야기 뭐냐면 당연히 POST가 데이터를 송, 수신 하는데 있어 안전한 것은 사실이다.그런데 rfc문..
들어가며 실무를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접근제어에 대한 이해도가 요구된다.단순하게 요청을 처리 한다는 개념을 넘어서 어떻게 효과적으로요청을 관리하고, 처리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필자도 저연년차 개발자이때문에 이전 기술스택과 현재 사용되는 기술스택을비교하여 어떤 방법으로 처리하는지를 고민할 수 밖에 없다. 이를 고민한 결과를 공유하는 포스트이다. 또한, 필자는 JAVA 기반 응용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보니,자바기반의 처리를 중점적으로 정리한다. (Filter)필터란?개념이름그대로 걸러주는 망 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가장 처음에 들어오는 레벨로 서블릿레벨에서 처리가 시작된다. 일반적으로, 보안헤더나 인코딩과정과 같은 선제적인 처리를 할 때활용되는데 가장 Low한레벨에서 I/O를 관리되기 때문에단..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AWS EC2, S3, VPC, Load Balancer 등과 같은 인프라 리소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AWS 자체가 IaaS를 제공하는 플랫폼.PaaS (Platform as a Service): AWS Elastic Beanstalk, AWS Lambda, Google App Engine 등과 같은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SaaS (Software as a Service):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Gmail, Dropbox, Slack 같은 서비스.